원의 내부 점을 아무거나 잡아서 각을 8등분하면 번갈아가며 칠한 색이 같다는 정리이다.
빨간 영역과 파란 영역은 넓이가 항상 같다.
원의 내부 점을 아무거나 잡아서 각을 8등분하면 번갈아가며 칠한 색이 같다는 정리이다.
빨간 영역과 파란 영역은 넓이가 항상 같다.
$k2^n+1$이 항상 합성수가 되게 하는 k를 일컫는다.
ex) 78557
대칭수 (0) | 2023.01.01 |
---|---|
메르센 소수 (0) | 2023.01.01 |
자릿수 분할해서 합을 제곱하면 자신이 되는 수 (0) | 2023.01.01 |
베르트랑 공준 (1) | 2023.01.01 |
라그랑주의 네제곱수 정리 (1) | 2023.01.01 |
<카프리카 수>
라고 불리는 이 수는 자릿수를 동등하게 나눠서 합을 제곱하면 자기 자신이 된다.
제곱수의 특별한 케이스라고 볼 수 있다.
ex)
$3025 \rightarrow 30 | 25 \rightarrow (30 + 25)^2 = 55^2 = 3025$
2자리 수로는 81
4자리 수로는 3025
6자리 수로는 494209
등이 있다.
2분할 말고 3분할, 4분할, ..., n분할에 대해서도 대충 짐작이 되겠지만
카프리카 수보다 많지는 않다.
3분할해서 합을 세제곱하면 자신이 되는 수에는 91125가 있다.
$91125 \rightarrow 09 | 11 | 25 \rightarrow (9 + 11 + 25)^3=45^3=91125$
메르센 소수 (0) | 2023.01.01 |
---|---|
시어핀스키 수 (0) | 2023.01.01 |
베르트랑 공준 (1) | 2023.01.01 |
라그랑주의 네제곱수 정리 (1) | 2023.01.01 |
잘 나누어지는 순열수 (0) | 2023.01.01 |
모든 2 이상의 자연수 n에 대해 $n<p<2n$인 소수 $p$가 항상 존재한다.
ex)
$n=12 \rightarrow 12<p=17<24$
$n=5 \rightarrow 5<p=7<10$
$n=3 \rightarrow 3<p=5<5$
시어핀스키 수 (0) | 2023.01.01 |
---|---|
자릿수 분할해서 합을 제곱하면 자신이 되는 수 (0) | 2023.01.01 |
라그랑주의 네제곱수 정리 (1) | 2023.01.01 |
잘 나누어지는 순열수 (0) | 2023.01.01 |
함수의 반복 적용 (0) | 2022.12.31 |
모든 자연수는 제곱수 4개의 합으로 표현할 수 있다.
$n=a^2+b^2+c^2+d^2(n,a,b,c,d\in\mathbb{N})$
ex)
$331=289+25+16+1=17^2+5^2+4^2+1^2$
시어핀스키 수 (0) | 2023.01.01 |
---|---|
자릿수 분할해서 합을 제곱하면 자신이 되는 수 (0) | 2023.01.01 |
베르트랑 공준 (1) | 2023.01.01 |
잘 나누어지는 순열수 (0) | 2023.01.01 |
함수의 반복 적용 (0) | 2022.12.31 |